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82

일반 라면이 짬뽕라면으로? 이연복 짬뽕라면 레시피 (놀면뭐하니 짬뽕라면) 일반라면을 짬뽕으로 만들어 먹어보자 짜장라면을 원했던 이전포스팅에 비해 짬뽕라면은 한층 더 어려워졌지만 과정은 너무 간단하게 넘어가서 조금 아쉬운 짬뽕라면이지만 이연복쉐프의 짬뽕라면을 배워보자 만들기위한 재료는? 오징어 몸통, 바지락, 새우는 구할수 있는 상황이 된다면 모두 좋겠지만 사실 쉽게 구할수 있는 재료만 가지고 만들면 되겠다 야채로는 청경채, 배추, 양파, 대파, 마늘, 청양고추 등이 있지만 집에 남는 재료로 모두 있다면 좋겠지만 이거 하나 먹기 위해서 배추를 크게 하나 살수는 없는 부분이기때문에 야채도 본인이 가지고 있는 재료로 구해서 사용하면 되겠다. 라면은 당연히 있어야 하며 이전 짜장라면과 동일하게 2인분인데 라면은 3개가 필요하다 그리고 위의 라면외 재료를 볶는 용도로 식용유가 추가로 .. 2020. 6. 5.
이것만 따라해보자! 스테이크를 맛있게 굽는 8가지 규칙 스테이크 기왕 굽는거 맛있게 구워먹어 보자 요 근래에 스테이크에 관한 포스팅을 여러가지 하고 있다. 그 중에 스테이크를 맛있게 하기위한 몇가지 내용들을 정리한 포스팅이 있었는데 2020/06/01 - [B. 식재료/02. 육류] - 맛있는 스테이크를 위한 조리방법에 대한 Q&A 맛있는 스테이크를 위한 조리방법에 대한 Q&A 스테이크에 소금 간은 언제 하면 될까? 소금을 뿌리고 당장에는 표면에 녹지 않고 붙어 있으며, 육즙은 근섬유 속에 그대로 있다. 3~4분이 지나면 삼투압이 일어나고 소기기 안의 수분이 밖으로 � designfood.tistory.com 해당 내용에서 할 필요가 없는 것이나 하면 좋은 방법에 대해 소개했으나 이번 포스팅에서는 스테이크 굽기를 위한 최적의 방법을 나열하여 이야기하고자 한다.. 2020. 6. 4.
사이트맵 2020. 6. 3.
짜장라면을 간짜장으로 만들어보자! 이연복 짜장라면 레시피 (놀면뭐하니 짜장라면) 짜장라면을 간짜장으로 만들어 먹어보자 짜장라면을 더 맛있게 먹을 방법을 찾던 중에 이연복 쉐프가 직접 짜장라면을 중식 라면처럼 그럴싸하게 만드는 방법이 있는 것을 발견하게 되어서 찾아보았다. 짜장라면을 여러 방송에서 선보인적이 있는데 '자연스럽게', '놀면뭐하니', '위대한 수제자' 등에서 선보인것을 확인했고 따라하기 좋고 그나마 자세하게 소개하고 있는 '놀면뭐하니'의 짜장라면을 참고하고자 한다. 만들기위한 재료는? 이 레시피는 2인분을 기준으로 만듬을 확인해야한다. 간짜장의 아삭한 식감을 전해줄 양파는 2개정도를 사용하여야 2인분정도의 양이 나올수 있다. 아삭한 식감과 더불어 고기를 씹는 맛이 빠질수 없다 역시나 고기는 비계가 많은 부위(삼겹살 등)를 쓰면 아삭한 식감사이로 부드러운 식감이 전해지면서 .. 2020. 6. 3.
맛있는 스테이크를 위한 조리방법에 대한 Q&A 스테이크에 소금 간은 언제 하면 될까? 소금을 뿌리고 당장에는 표면에 녹지 않고 붙어 있으며, 육즙은 근섬유 속에 그대로 있다. 3~4분이 지나면 삼투압이 일어나고 소기기 안의 수분이 밖으로 나오게 된다. 그리고 이 액체는 고기의 표면에 맺히게 되어 마이야르 반응이 일어나는 어렵게 만든다. 10~15분정도 되면 육즙에 높은 소금물이 소고기 근육을 분해하고 고기가 수분을 더 흡수하여 소금기가 고기 안으로 더욱 깊숙히 들어갈수 있게 된다. 40분이 지나면 표면의 수분이 다시 고기에 재흡수되게 되고 수분도 표면에 있는 동안 소량 증발하면서 고기맛이 살짝 농축되고 소금기는 고기 중심부까지 베어들어가 고기 전체에 간이 맞춰진다. 즉, 최소 조리 40분전에 소금간을 하거나 소금간을 하고 밤새 냉장고에 재워두는 것이.. 2020. 6. 1.
닭 육수는 어떻게 내는게 맛있을까? 닭이란 무엇인가? 닭 털과 벼슬등 먹지 못하는 부위를 제외하고 나면 닭은 다음 4가지로 분류 가능하다. 1. 근육 닭고기라고 할수 있는 부위로 지근과 속근으로 다시 나눌수 있다. 1-1. 지근은 지속적인 운동량을 가진 근육으로 대표적으로 다리와 허벅지 근육이다. 유산소 운동을 하기에 산소가 풍부하여 붉은 색을 띄며, 모세혈관 조직이 치밀하다. 1-2. 속근은 짧은 순간에 갑작스러운 힘을 낼수 있는 근육이다. 대표적으로 닭가슴살 부위가 있으며, 이 부위는 무산소 운동을 하며, 모세혈관이 덜 치밀해 색이 연하다. 2. 지방 닭의 몸에 단열작용을 하며, 에너지 보관하는 형태로써 사용된다. 주로 다리와 등 주변에 많이 모여있으며, 우리가 생각하는 닭맛은 지방에서 주로 나온다고 보면 된다. 3. 결합조직 많이들 .. 2020. 6. 1.
소고기 스테이크의 이것저것 (스테이크 좋은 고기) 스테이크용 고기와 로스트용 고기는 무엇이 다른가? 로스트는 5cm이상의 두께의 고기를 의미하고 스테이크는 5cm미만의 두께의 고기를 말한다. 즉, 크기에 따라 불리는 것 말고는 다른 다른 점은 없다. 좋은 스테이크 고기란 어떤 것인가? 꽃등심, 채끝, 안심, 티본 등의 부위가 스테이크에 좋다. 기본적으로 두께가 있어야 하기때문에 근육이 큰 부위의 근육이여야 하며 스테이크의 부드러움이 많이 부각되는 음식이기에 운동을 많이 하지 않는 부위가 좋다. 운동을 많이 하는 부위는 근막이 질기고 근육자체도 질겨진다. 그리고 이런 근육부위는 지방을 잘 가지고 있지 않아 마블링이 많이 없다. 즉, 두께가 일정 3cm 이상 나올수 있는 근육에 마블링이 많고 운동을 잘 하지 않아 부드러운 부위가 스테이크용으로 좋다. 부위별.. 2020. 5. 30.
바베큐에 좋은 고기숯은 어떤 것일까? ( 숯종류 및 숯효능) 숯이란 무엇인가? 우리가 익히 알다 싶이 숯은 나무를 태운 것이다. 그런데 나무를 태우면 재가 되는게 보통이 아닌가? 어째서 숯은 태워진 상태에서도 그 형태를 유지할까? 또한 한번 태워진 상태인데 불이 붙으며 화력또한 좋다 생각해보면 일반 땔감을 태워서 나오는 열의 지속시간과 숯을 태웠을때 지속시간은 숯이 월등히 더 오래 불이 가는걸 알수 있다. 왜 그럴까? 숯은 만들어질때 가마에 나무를 넣고 입구를 막아버리면서 공기와 차단시키는 탄화과정을 거치는데 탄화과정이란 우리가 무언가를 태울때 탄소, 수소, 황을 포함하는 가연성 물질이 산소와 반응하여 빛과 열을 내는데 이때 충분한 산소가 공급되어 연소하는 것을 완전연소라 하며, 산소가 부족하거나 온도가 낮은상태로 연소되는 것을 불완전연소라 한다. 탄화과정은 불완.. 2020. 5.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