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82

소의 가장 부드러운 등허리 부위 - 목심, 등심, 채끝 목심 1) 목심살 (불고기, 국, 전골 등) 목심살은 돼지와 마찬가지로 목덜미 위쪽 부분을 이야기 하는 것으로 제1목뼈에서 제7목뼈 부위에 있는 근육으로 이우러져있다. 운동량이 많은 근육이기에 근내지방함량이 낮고, 근섬유가 굵어 부드러운 식감을 주진 못하나, 단백질 함량이 높고 육즙이 풍부하며, 씹을수록 고소한 감칠맛이 난다. 등심 1) 윗등심살 (스테이크, 구이, 불고기, 등) 등심은 소의 등줄기를 따라 윗등심, 꽃등심, 아래등심으로 나뉘어 진다. 그 중 윗등심은 제1등뼈에서 제5등뼈까지의 부위에 있는 근육을 이야기하며, 떡심이라는 누런 힘줄이 고기 외곽에 있는 것이 특징이다. 육색은 선홍색인 것이 좋으며, 근내지방이 많아 마블링의 풍미가 풍부하고 맛도 좋다. 그렇기 때문에 구이나 스테이크용으로 많이 .. 2020. 5. 18.
소의 사태 와 앞다리살은 분리하여 부른다? 사태와 앞다리살 사태와 앞다리는 운동량이 많은 부위 중에 톱을 가지는 부위이다. 그렇기에 근막이나 힘줄을 많이가지고 있어서 제거해주지 않으면 질긴 식감으로 조리하기 힘든 부위이기도 한데, 소분할로는 다시 각각 5개씩의 분할하여 사용되기 때문에 정확하게 내용을 파악하고자 포스팅을 시작한다. 사태 1) 앞사태 (국, 찜, 불고기 등) 사태는 다리뼈를 감싸는 근육들을 말하며, 당연히 앞과 뒷의 사태로 구분이 가능할 것이다. 여기서 앞사태는 앞다리의 근육을 이야기하며, 상박살을 제거하고 나면 남는 부위가 앞사태라고 할 수 있다. 다리 부분이기에 운동량이 매우 많은 부위이여서, 육색이 짙고 힘줄의 함량이 많다. 여기서 힘줄만 따로 빼면 우리가 흔히 말하는 스지를 지칭한다. 힘줄이나 근막 같은 질긴 결체조직의 함량.. 2020. 5. 18.
소고기의 부위별 명칭과 보관법 (feat. 한우에 대해서) 이번엔 소고기에 대하여 알아보자 돼지와 마찬자기로 우리나라에서 많이 소비되는 육고기 중 하나인 소고기는 돼지고기보다 부위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돼지고기보다 많은 부위 명칭을 가지고 있다. 오늘은 소고기의 부위별 명칭을 알아보고 대략적인 손질 및 보관법 등을 알아보고자 한다. 소고기 부위별 명칭 대분할 소분할 목심 목심살 등심 윗등심살 / 꽃등심살 / 아래등심살 / 살치살 채끝 채끝살 안심 안심살 우둔 우둔살 / 홍두깨살 설도 보섭살 / 설깃살 / 설깃머리살 / 도가니살 / 삼각살 앞다리 꾸리살 / 부채살 / 앞다리살 / 갈비덧살 / 부채덮개살 양지 양지머리 / 차돌박이 / 업진살 / 업진안살 / 치마양지/ 치마살 / 앞치마살 갈비 본갈비 / 꽃갈비 / 참갈비 / 갈비살 / 마구리 / 토시살 / .. 2020. 5. 18.
돼지의 고기 외의 부위 (족발, 곱창 , 간 , 신장 ) 버리는 부위가 없는 돼지 이때까지 대분할로 보는 부위와 소분할 부위까지 살펴보았지만, 아직 남은 부위가 있다. 바로 돼지의 내장과 족발 부위이다. 해당 부위를 좀 더 알아보자. 족발 1) 족발 (찜) 족발은 돼지의 다리를 정형한 것으로 짧게 사태를 덜 붙이면 단족, 사태를 많이 붙여서 때어내면 장족으로 구분이 가능하다. 단족은 주로 맵게만든 불족에서 많이들 사용하고, 일단 족발은 사태가 좀 붙어있는 부위로 많이 만들어 내는 편이다. 족발은 잔털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면도칼이나 불에 그을려서 제거해주는 것이 좋으며, 특유의 냄새가 날수 있기 때문에 흐르는 물이나 소금물에 담가 두어 혈액이나 이물질을 제거해 주는 것이 좋다. 곱창 1) 소창 (순대외피, 순대국 등 ) 소창은 창자 중 가장 앞에 위치하고 있.. 2020. 5. 18.
돈까스 부위의 대명사 돼지 등심과 값싼 뒷다리 돼지 뒷다리에 6가지의 부위가 있다? 돼지 뒷다리는 기본적으로 지방이 많이 없어 삼겹살에 비해 매우 인지도가 떨어지면 값싸고 맛없는 고기로만 생각했었다. 하지만 뒷다리살에도 구이용으로 먹을만큼 지방이 풍부한 부위가 있다는 것을 아는가? 거기에 뒷다리살로만 6가지 부위로 나뉘어 진다고 하니 전혀 모르던 사실이 아닐수 없다. 이에 오늘은 뒷다리살과 등심부위에 대한 포스팅을 진행 하고자 한다. 부위 별 위치에 대해서는 아래의 링크를 참조 등심 1) 등심살 (돈가스, 스테이크 등) 돼지의 등줄기를 따라 길게 형성되어있는 근육으로 이 등심을 제거하면 삼겹살 부위만 남게 된다. 등 근육이므로 운동량이 적고, 근막도 많지 않아 가장 연하고 지방이 매우 적은 부위이다. 저지방, 고단백의 다이어트 식재로 이용가치가 높음.. 2020. 5. 18.
한국의 아이덴티티 삼겹살과 갈비 그리고 안심 부위 갈매기살? 토시살? 이런게 뱃살에서 나온다고? 고기집으로 외식을 나가게되면 비싼 메뉴로 갈매기살이 나오기도 하지만 토시살은 거의 보지 못했다. 하지만 토시살은 갈매기살에서 나오는 부위라는 것을 아는가? 그리고 식감도 비슷하다고 한다. 하지만 왜 갈매기살은 비싼값에 팔리지만 토시살은 잘 보이지 않는걸까? 오늘은 갈비와 뱃살 그리고 안심부위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갈비 1) 갈비 (바비큐, 불갈비, 찜갈비용) 우대갈비라고도 하며, 돼지를 3분도체로 나눴을때 제4흉추 까지를 각을 쳐서 잡는데 이때 제1흉추에서 제4흉추까지의 부위를 갈비라고 한다. 살코기 내에 지방이 많아 부드럽우면서 쫄깃한 식감을 가지고 있다. 2) 갈비살 (구이) 이름에서 알수 있듯이 갈비에서 뼈를 제거한 순수한 살부위만 정형한 부위이다.. 2020. 5. 18.
돼지고기 부위별 명칭과 목심 그리고 앞다리 알고 먹으면 맛있어 진다? 돼지는 서민들이 가장 많이 먹는 부위중에 하나 일 것이다. 특히 삼겹살에 소주는 한국을 생각하면 자연스럽게 떠오르는 키워드 중에 하나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하지만 구이용으로 먹는 삼겹살, 목살을 제외하고 나면 자연스럽게 떠오르는 돼지고기 부위는 드물다. 해서 돼지고기 부위별 명칭과 어느 부위별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포스팅을 시작한다. 돼지고기의 부위별 명칭 돼지는 다음의 명칭으로 나뉘어서 부를 수 있다. 대분할 부위 명칭 소분할 부위 명칭 안심 안심살 등심 등심살 / 알등심살 / 등심덧살 목심 목심살 앞다리살 앞다리살 / 앞사태살 / 항정살 뒷다리살 볼기살 / 설깃살 / 도가니살 / 홍두깨살 / 보섭살 / 뒷사태살 삼겹살 삼겹살 / 갈매기살 / 등갈비 / 토시살 /.. 2020. 5. 15.
가스레인지와 하이라이트 그리고 인덕션 (feat. 전기렌지 청소법) 가스스토브와 전기스토브의 차이는 뭘까? 요리란 과학적인 관점에서 보자면 식재료에 열에너지를 옮기는 일이라고 정의 내릴수 있을 것이다. 주로 차가운 에너지 보다는 뜨겁게하는 에너지를 많이 다루게 되는데, 이럴때 가정에서 주로 사용하는 도구로서 가스레인지와 하이라이트, 인덕션이 우리나라에서는 가장 보편화 되어 있을 것이다. 가스레인지는 가스로, 하이라이트와 인덕션은 전기로 작동하게 된다는 것 말고는 다른 어떤점이 다르며, 인덕션은 전용 용기를 사용해야 한다는데 무엇 때문에 다른 용기는 사용하지 못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가스레인지 가스레인지의 원리는 LNG, LPG 등의 액체가스를 기화시켜 밖으로 조금씩 흘러보낼 때 전자식이나 압전식의 강한 충격에서 일어나는 스파크를 사용하여 불을 점화하고 이후에 가스를 지.. 2020. 5. 15.
반응형